조각가의 ‘그림연습’
갤러리분도서 조각가 이기칠의 개인전 ‘그림연습’을 준비했다. 이기칠은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조각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건축서 착안한 조형 이미지를 매우 절제된 형태로 드러내는 미니멀리스트기도 하다.
이기칠 조각가는 자신이 조소 작업에 사용했던 방식을 다른 장르에 그대로 접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이런 방식은 몇 해 전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연주서 확실하게 드러났다.
이기칠은 바흐의 이 곡을 연주하기 위해 피아노 교습을 시자했고, 수없는 연습을 반복한 끝에 전곡을 완주했다. 이후 그 결과물을 영상에 담아 자신의 조각 작품과 접목시킨 작업을 선보였다.
거장의 그림
이기칠은 아무 것도 없는 상태서 연습을 통해 숙련된 후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는 새로운 도전 과제로 회화를 선택했다. 전시 제목을 통해서 알 수 있듯 이번 전시는 조각가 이기칠의 회화전이다. 기존 작업을 빼고 순전히 회화로만 채웠다. 이 전시리스트는 그가 시도하는 새로운 실험이자 도전이다.
이기칠의 원칙은 특별하다. 이번 전시서 그는 회화사에 존재감을 드러낸 명작들을 최대한 똑같이 그린 작품을 공개한다. 지적재산권서 자유로운 사후 70년 이후가 된 화가들의 작품들 중 몇 점을 선택해 연습하듯 그려왔다.
이기칠은 이 프로젝트를 오래 전부터 구상해왔다. 그러다 갤러리분도서 개인전이 확정된 후 본격적으로 준비에 들어갔다. 특히 전시 1년 전부터 많은 양의 그림이 동시다발적으로 완성됐다. 50호 캔버스로 한정된 화폭에 일정한 붓질로 재탄생한 이기칠의 회화는 원본이 존재하지만, 그의 직업태도를 보여주는 신작이기도 하다.
바흐 연주 위해 피아노 교습
영상으로 담아 조각에 접목
이번 전시 ‘그림연습’서 선보일 작품에 대한 작은 소란이 벌어지고 있다. 제한된 정보가 확산되면서 비롯된 소동이다. 이기칠의 이번 전시가 조각의 회화에 대한 항복 선언으로 비춰진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 그의 이번 전시는 많은 정보를 숨긴 채 진행됐다.
윤규홍 아트디렉터는 “이번 전시는 조각가 이기칠이 화가 이기칠로 다시 태어나는 선언” 이라고 말했다. 또 새로워도 너무 새로운 전시라고 놀라워했다. 대학에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병행하고 있는 이기칠은 휴일과 여가시간, 방학을 일상서 자우고 쉼없이 그림을 연습했다.
그는 설정부터 아주 치밀하게 준비하고 실행했다. 특히 화가로서의 독창성을 작업서 배제시키는 것을 이번 작업의 주된 원칙으로 삼았다. 그는 자신이 보기에 회화의 역사서 특별한 의미로 읽히는 그림을 베껴 그렸다.
그림의 선택은 전적으로 이기칠이 결정했다. 대신 그림에 자신만의 해석이나 변형을 넣진 않았다. 무미건조할 만큼 객관적인 작업이다. 자기 해석 과정을 뺀 이 원칙 자체는 역설적으로 이기칠의 작품을 특별하게 만들었다.
사후 70년 작가 작품
그대로 그려서 채색해
이기칠은 1950년대 이전에 작고한 작가들의 그림을 선택했다. 작업은 형태를 재현하고 색을 지정한 이후, 이기칠과 그의 보조자들이 채색을 거듭한 끝에 완성됐다. 비슷한 크기로 통일된 작품은 일정한 필법과 톤을 지켜가며 늘어났다. 포드주의 시대 대량생산되던 공산품에 비유될 정도다.
윤 디렉터는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나온 이기칠의 작품은 취향을 탈 것 같다. 한국 현대 조각계서 비중 있는 작가로 활동해온 그가 벌이는 기획은 어떤 사람들에겐 당혹감을 줄 수도 있다” 며 “하지만 이 모든 게 연극무대에서 1막, 2막, 3막으로 진행되는 예술가의 생애”라고 전했다.
작품을 마구잡이로 고른 것 같지만 양이 늘어나면서 컬렉션의 특성이 어렴풋하게 드러났다. 이기칠은 “거푸 그리다보니 선호하는 화가와 화풍이 있었다”고 전했다.
윤 디렉터는 “그가 최초로 손댄 겸재 정선의 그림부터 그랜드 우드가 그린 아메리칸 고딕 같은 그림이 그렇다”며 “공간을 가득 채운 그림은 중세 이전부터 컨템포러리 아트의 여명기에 이르는 회화사의 단면이라고 해도 좋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도전
그러면서 “이기칠의 지난 작업 이력을 보면 이 도전적인 시도는 그리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결정과 실행의 힘 자체가 놀랍다”며 “그의 경이로운 창작욕으로 재탄생된 회화는 그 원본이 무엇인지 알아내고, 그것과 비교하는 재미 또한 관객들에게 제공할 것” 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오는 12월 31일까지.
일요시사 장지선 기자